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ava43

자바(JAVA) 에러코드2 자바(JAVA) 에러코드 Error 표시 에러 내용 에러 처리 방법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e:파일명 클래스 파일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실행하려는 클래스 파일 이름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 또한, CLASSPATH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며(DOS Mode에서 set 명령어) 만약,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설정함.(CLASSPATH = jdk버전번호/jre/lib/rt.jar;) cannot resolve symbol symbol : class in(에러가 난 부분) location : class StackTest(찾으려는 위치) 이해할 수 없는 클래스나 메소드, 변수명이 올 경우 보통 이 에러는 철자가 틀렸을 경.. 2019. 9. 6.
DTO와 VO MVC 구조로 개발을 하게되면 공통적으로 생성되는 자바파일들이 있다. Controller, Service, DAO, DTO가 그것인데 여기서 DTO는 VO라는 명칭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같은 뜻이라면 애초에 2가지 용어가 존재하지 않을텐데, 이 두 용어의 차이를 포스팅하고자한다. 1. DTO(Data Transfer Object) Data Transfer Object 의 약자로 레이어를 이동할때 데이터를 들고있는 객체를 말한다. 객체지향적인 요소는 없이 단순히 데이터만 들고 이동시키기때문에 필드를 public 접근제어자를 사용해 직접 접근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자바에서는 뭔가를 하려면 일단 객체를 만들어야되니 객체화해서 사용할뿐 실질적으로 객체지향이라는 거리가 있는 객체. DTO와 VO의 혼용은 사실.. 2019. 9. 6.
servlet mapping /와 /* 차이점 프레임워크가 대중화되면서 공부목적이 아닌이상 프레임워크없이 쌩 서블릿으로 웹개발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있을텐데 이번에 설명하고자 하는건 프레임워크에 관련된건 아니고.. 어쨋든 이 프레임워크들도 서블릿 기반에서 구동되기때문에 서블릿 매핑이 1개 이상은 필요하다.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1 appServlet *.do web.xml에 기술되는 대표적인 서블릿 매핑 일단 요청을 받는 1개 이상의 서블릿들을 생성하고 해당 서블릿이 다시 각각의 컨트롤러들에.. 2019.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