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웹 기반 기술 이해
1.1 프로토콜: 네트워크 통신 규약
- 인터넷 프로토콜: TCP 및 IP 프로토콜이 핵심, TCP/IP 프로토콜
- 이더넷: 네트워크 모듈
- IP 프로토콜: 컴퓨터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
- TCP 프로토콜: 컴퓨터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1.2 웹 전체 시나리오
-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사용하여서 www.funcoding.xyz 같은 URL 입력을 통해서 웹페이지를 요청한다.
- 사용자의 요청은 TCP 패킷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 TCP 패킷은 IP 패킷으로 다시 만들어 지고 IP 패킷에는 자신의 IP 주소와, 도착해야될 상대방의 IP 주소 정보가 넣어진다.
- IP 패킷은 이더넷 카드로 보내어져서 Internet 으로 전송된다.
- 이더넷 패킷은 도착지의 컴퓨터 이더넷 카드로 전달된다.
- 이더넷 카드는 해당 데이터를 IP 프로토콜 계층에 보낸다.
- IP 프로토콜 계층은 다시 TCP 프로토콜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 TCP 프로토콜 계층은 누락된 데이터가 없는지 확인하고, 수신받은 데이터를 재조합핸 후 이 데이터를 Application Layer에 보낸다.
- Application Layer에서 해당 데이터가 HTTP 프로토콜로 작성되어 있으면, HTTP 프로토콜 규칙에 준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웹페이지를 웹서버가 제공한다.
- 웹서버가 제공한 웹페이지는 다시 TCP 프로토콜 계층으로 전송되어, TCP 패킷으로 바뀌고, 결국 IP 패킷으로 만들어지고, 이더넷 카드에 보내진다.
- 웹페이지는 요청된 컴퓨터에 수신되고, 이더넷 카드, IP 패킷, TCP 패킷, HTTP 패킷으로 분석되어, 웹브라우저에 웹페이지가 전달된다.
-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 파일에 있는 HTML,CSS,javascript등을 파싱(parsing)하여, 렌더링 작업을 거쳐 화면에 뿌려준다.
참고1(TCP/IP 프로토콜): https://www.joinc.co.kr/w/Site/Network_Programing/Documents/IntroTCPIP
참고2(렌더링이란): http://wit.nts-corp.com/2014/03/18/1116
1.3 HTTP 프로토콜: WWW(웹)상에서 문서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 request(요청) / response(응답) 으로 구성
- browser(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web server(서버)가 HTML 파일이나 다른 자원(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을 응답으로 전송
- request의 형태에는 대표적으로 GET / POST 가 있음
- GET 방식 : 데이터 전달을 URL 내에서 함
- POST 방식 : 데이터 전송을
태그를 통해서 함(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음)
- 예) ID, 비밀번호 전달의 경우
- 참고 - FORM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POST 방식 기본 설명
- browser는 응답을 렌더링하여 인간이 보기 쉬운 형태로 출력
- 참고: HTTP 프로토콜 위키 페이지
반응형
'Tip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0) | 2019.09.06 |
---|---|
vpn 사용하기 (0) | 2019.09.06 |
브라우저는 웹페이지를 어떻게 그리나요? - CRITICAL RENDERING PATH (0) | 2019.09.06 |
iptime 공유기에서 VPN 서버 구축하여 활용하기 (0) | 2019.09.06 |
로컬 개발서버를 HTTPS로 세상에 띄우기 (0) | 2019.09.06 |